우리나라 대부분의 복지정책과 지원사업은 ‘중위소득’ 기준을 따릅니다. 특히, 중위소득 150% 기준은 산모·신생아 돌봄, 청년주거 등 다양한 사업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따라서 자신의 소득이 중위소득의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위소득이란?

–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 평균값과 달리 일부 고소득 가구의 영향 없이 소득 분포의 중심을 반영합니다.
– 2025년 기준은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한 수치를 따릅니다.
2025년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100% 기준, 단위: 원)
2024년에 비해 2025년에는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이 대폭 상승되었습니다.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100%와 150%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100% | 150% |
---|---|---|
1인 | 2,392,013 | 3,588,020 |
2인 | 3,932,658 | 5,898,987 |
3인 | 5,025,353 | 7,538,030 |
4인 | 6,097,773 | 9,146,660 |
5인 | 7,108,192 | 10,662,288 |
※ 8인 이상 가구는 4인 기준에 1인당 920,000원을 더해 계산하세요.
중위소득 150% 기준 건강보험료
직장인 기준 본인이 내는 건강보험료로 중위소득 150% 구간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50% | 월 건보료 부담액 (예상) |
---|---|---|
2인 | 5,898,987 | 약 210,200원 |
3인 | 7,538,030 | 약 271,460원 |
4인 | 9,146,660 | 약 330,760원 |
5인 | 10,662,288 | 약 386,680원 |
※ 산모·신생아 돌봄 사업 등에서 활용되며, 정확한 계산은 본인 부담금 기준입니다.
중위소득 배수 추정 계산법
아래 수식으로 나의 소득 배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월 건강보험료 ÷ 0.03545 = 예상 소득 금액
예: 85,000원 ÷ 0.03545 ≈ 2,398,000원 → 1인 가구 중위소득 100% 수준 계산
🔺 클릭시 건강IN 앱으로 이동합니다 🔺
왜 이 방법이 중요한가?
중위소득은 정부 지원사업의 수급기준을 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2025년도에는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와 생계급여의 급여별 선정기준이 2024년과 달라지므로 중위소득 150%에 본인이 해당되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복지로에서 제공하는 자가진단 계산기를 이용하여 내가 매달 내는 건보료를 입력 하면 중위소득 100%, 150%, 그 이상의 기준 구간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내 정부 지원 자격 여부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