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준비하면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항공사의 수하물 규정입니다. 항공사마다 위탁수하물과 기내 반입 허용 기준이 다르며, 초과 수하물 요금도 천차만별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외 주요 항공사의 수하물 규정을 비교해 안내드리며, 각 항공사의 공식 안내 링크도 함께 제공합니다.
잠깐! 수하물 무게를 초과하면 추가 요금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탑승 전 항공사 기준을 확인하세요.
📌 국내 항공사 수하물 규정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은 기본 위탁수하물과 기내 수하물 기준이 다릅니다.
항공사 | 위탁수하물 | 기내수하물 | 안내 |
---|---|---|---|
대한항공 | 23kg 2개 (일반석 기준) | 12kg 1개 | 바로가기 |
아시아나항공 | 23kg 1~2개 (노선별 상이) | 10kg 1개 | 바로가기 |
제주항공 | 15~20kg | 10kg | 바로가기 |
진에어 | 15~20kg | 10kg | 바로가기 |
🔺 바로가기 클릭시 이동합니다 🔺
🌍 해외 항공사 수하물 규정
국제선을 이용할 경우 항공사에 따라 무료 수하물 허용량에 차이가 많습니다. 특히 저가항공은 기내 수하물만 무료 제공인 경우가 많습니다.
항공사 | 위탁수하물 | 기내수하물 | 안내 |
---|---|---|---|
에미레이트항공 | 25~35kg (운임 등급별) | 7kg | 바로가기 |
에어프랑스 | 23kg 1개 | 12kg | 바로가기 |
델타항공 | 23kg 2개 | 7kg | 바로가기 |
루프트한자 | 23kg 1개 | 8kg | 바로가기 |
🔺 바로가기 클릭시 이동합니다 🔺
📎 수하물 규정 관련 Q&A
Q. 항공권 가격이 싼데 수하물은 포함인가요?
아니요. 특가 항공권이나 저가 항공은 수하물이 미포함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약 시 확인 필수입니다.
Q. 초과 수하물 요금은 얼마인가요?
항공사와 노선, 무게에 따라 다릅니다. 예: 대한항공의 경우 23kg 초과 시 약 10~20만 원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기내용 가방도 무게 제한이 있나요?
네, 대부분 7~12kg 이하로 제한되며, 치수도 정해져 있어 초과 시 위탁 처리됩니다.
🧳 게이트백(Gate Bag)이란?
게이트백은 기내 수하물 허용 한도를 초과하거나 탑승 게이트에서 짐이 너무 많다고 판단될 때, 탑승 직전에 위탁 수하물처럼 맡겨지는 가방을 말합니다. 보통 비행기 문 앞에서 짐을 맡기고, 도착 후 수하물 수취대에서 찾게 됩니다.
🛂 게이트백 가능 여부 및 유의사항
- 저비용항공사(LCC)는 기내 공간이 협소하여 탑승 직전 기내 가방이 게이트백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의 대형 항공사도 혼잡한 노선에서는 게이트백 처리 안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게이트백은 대체로 무료지만, 무게나 크기 초과 시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게이트백으로 보내는 가방에는 노트북, 배터리, 전자기기, 귀중품을 넣지 마세요. 해당 물품은 반드시 개인 소지품으로 기내 반입해야 합니다.
💡 TIP: 수하물 무게 기준을 지켜도 기내 공간 부족 시 게이트백 요청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가방 크기까지도 항공사 기준에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 기내 보조가방 허용 여부
대부분의 항공사는 기내 수하물 외에 추가로 핸드백, 노트북 가방, 작은 백팩 1개를 무료로 허용합니다. 단, 총 무게 및 크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 리튬배터리 반입 기준
-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 위탁 수하물로 보낼 수 없습니다.
- 용량 100Wh 이하: 대부분 허용
- 100~160Wh: 항공사 사전 허가 필요
- 160Wh 초과: 대부분 반입 불가
노트북, 카메라, 드론, 전동킥보드 등 리튬배터리를 사용하는 장비는 반드시 기내에 직접 들고 타야 합니다. 가지고 있는 배터리의 기내 반입 혀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용량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클릭시 용량계산기로 이동합니다 🔺
🎒 수하물 분실 시 보상 절차
수하물이 분실되었을 경우 공항 내 수하물 서비스 센터에서 PIR (Property Irregularity Report)를 작성해야 합니다.
- 보상 한도: 국제선의 경우 최대 약 1,288 SDR (Special Drawing Rights), 약 200만 원 상당
- 국내선: 항공사 자체 약관에 따름
- 보상 기준: 영수증 제출 시 실제 구매가 기준, 없을 경우 항공사 자체 기준에 따라 감가 적용
💰 초과 수하물 요금 계산 및 팁
항공사마다 기본 무료 수하물 허용 기준이 다르며, 이를 초과하면 무게별/구간별로 요금이 발생합니다.
- TIP 1: 사전 구매하면 공항 결제보다 30~50%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 TIP 2: 무게를 맞추기 어려울 땐, 가족/지인과 수하물 합산이 가능한지도 확인해보세요.
👶 유아 및 어린이 수하물 규정
- 유아(24개월 미만)는 항공권에 따라 기내 수하물 1개 + 유모차 1대까지 무료 허용
- 유모차는 게이트까지 밀고 간 후 위탁 가능 (항공사 직원이 맡아줌)
- 카시트도 대부분 무료 위탁 가능하나, 사전 확인 권장
아이 동반 시에는 탑승 전 항공사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구체적인 수하물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마무리 정리
수하물 규정은 항공사마다 상이하며, 노선 및 운임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여행 당일 당황하지 않도록 출발 전 반드시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각 항공사 수하물 규정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출발 전 공식 홈페이지 확인이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