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저시급이 드디어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제는 시급 1만 원 시대가 현실이 되었습니다. 1주 40시간 기준 월급은 약 2,096,270원, 연봉으로는 2,515만 원에 해당합니다. 2025년 최저시급으로 1억을 모을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단순한 저축만으로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실제 월급 기준으로 1억 모으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현실적으로 계산해보고,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실제 계산기도 함께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단순 계산? 말고, 직접 시뮬레이션 해보세요
단순하게 ‘월 200만 원 × 몇 개월’로 계산하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이율(이자), 생활비 지출, 현실적인 저축액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죠. 게다가 매달 얼마씩 모을 수 있는지도 사람마다 다르고,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나 금융상품을 활용하면 더 빠르게 모을 수도 있습니다.
1억 모으기 계산기는 이런 현실적인 요소들을 반영해서 얼마나 걸리는지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직접 계산해보세요!
내 상황에서 1억을 모으는 데 걸리는 시간, 혹은 매달 얼마나 저축해야 하는지, 아래 무료 계산기로 직접 확인해보세요.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목표 금액을 입력하고
- 매달 저축 가능한 금액, 혹은 목표 기간
- 예상 연 이율을 입력하면 바로 결과가 나옵니다.
결과는 연도 + 개월 단위로 보기 쉽게 정리되며, 예상 자산 증가 그래프도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저축 플랜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 현실적으로 얼마나 저축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월급 209만 원을 받는다고 가정해봅시다. 통신비, 보험료, 식비, 관리비, 월세 등 생활비로 60만원 정도의 소비를 하고 남은 금액을 모두 저축한다면 약 150만원 정도의 금액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을 기준으로 1억을 모으려면 약 67개월, 즉 5년 6개월 정도가 걸리게 됩니다. 단순히 계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자신의 상황을 입력해서 시뮬레이션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20대도 가능할까? 가능하다면 어떻게?
많은 20대들이 ‘내가 언제 1억을 모아?’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부모님과 함께 살면서 지출을 최소화하고, 알바나 직장에서 성실히 근무하며 청년 정책 상품을 병행한다면 5~6년 내 1억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장병내일준비적금, 청년도약계좌, 지자체 청년 지원금 등을 활용하면 실질 저축액이 늘어나기 때문에 속도는 더 빨라집니다. 이런 것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시뮬레이션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 마무리
단순히 돈을 아끼기만 해선 1억 모으기가 쉽지 않습니다. 체계적인 계획, 적절한 금융 상품 활용, 그리고 실천력이 중요합니다. 1억 모으기 계산기는 자신의 상황에 맞게 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도구입니다.
시간 나실 때 꼭 한 번 계산해보시고, 올해 안에 ‘나만의 목돈 만들기 계획’을 시작해보세요.
- 2025 최저시급: 10,030원 (월 2,096,270원 기준)
- 현실적인 저축 가능 금액: 월 150만 원 내외
- 1억까지 소요 시간: 약 5년 6개월 (이율/지출 따라 다름)
- 무료 계산기로 내 상황 직접 확인 가능
- 정부 지원 상품 병행 시 더 빠르게 가능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2025 청년 희망적금 총정리
✅ 1억 모으는 시간 계산하기
✅ 유심 해킹 | 통신사 유심 보호 서비스
✅ 주유비 절약하는 7가지 팁
✅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