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을 가기 위해서 가장 많이 선택하는 교통편은 바로 비행기입니다. 국외로 가는 경우에는 다양한 항공사를 이용하게 되는데요. 이럴때 항공사별 수하물 규정과 게이트백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아두면 짐을 꾸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항공사별 수하물규정 및 게이트백서비스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행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수하물 규정
비행기를 탈 때 가장 자주 문제가 되는 것이 수하물 규정입니다. 항공사마다 위탁 수하물의 무게·크기 제한, 무료 허용량이 다르고, 특히 건전지·보조배터리 관련 규정이 까다롭습니다. 잘못 준비하면 공항에서 추가 요금을 내거나 물품을 반입하지 못하는 불편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수하물 규정에 대해 확인해야 합니다.
항공사별 수하물 규정에서 주의할 점
수하물 규정은 각 항공사별로 다르기 때문에 탑승하려는 비행기에 따라 수하물 규정을 잘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무게와 크기, 짐의 허용량 등의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주의사항 |
---|---|
무게 및 크기 | 국제선은 보통 23kg~32kg, 합산 158cm 제한. LCC는 15kg 전후로 더 엄격함. |
무료 허용량 | 대한항공·아시아나 등 FSC는 무료 수하물 제공. 저비용 항공사(LCC)는 대부분 유료. |
비행기 수하물 건전지 | 일반 알카라인 건전지는 위탁 가능. 리튬이온 배터리(보조배터리 포함)는 기내 휴대만 가능. |
특수 물품 | 운동기구, 악기, 골프백 등은 별도 규정 적용. 사전 문의 필요. |
특히 최근 사고 이후, 보조배터리에 대한 규정이 강화되었는데요. 보조배터리의 경우에는 승인된 용량의 제품만 가지고 탈 수 있기 때문에 갖고 계시는 보조배터리의 용량이 기내 허용되는 것인지 미리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수하물 규정은 항공사별로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신의 정확한 정보 확인을 위해서는 해당 항공사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항공사 | 게이트 백 서비스 | 규정 확인 |
---|---|---|
대한항공 (Korean Air) | 제공 (위탁 범위 내 무료) | 대한항공 바로가기 |
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 제공 제한적 (노선별 상이) | 아시아나항공 바로가기 |
제주항공 (Jeju Air) | 제공 (유료) | 제주항공 바로가기 |
진에어 (Jin Air) | 제공 (유료/무료 혼재) | 진에어 바로가기 |
티웨이항공 (T’way Air) | 제공 (유료) | 티웨이항공 바로가기 |
에어부산 (Air Busan) | 제공 (유료) | 에어부산 바로가기 |
에어서울 (Air Seoul) | 제공 (유료) | 에어서울 바로가기 |
이스타항공 (Eastar Jet) | 제공 (유료) | 이스타항공 바로가기 |
싱가포르항공 (Singapore Airlines) | 제공 (위탁 범위 내 무료) | 싱가포르항공 바로가기 |
타이항공 (Thai Airways) | 제공 (위탁 범위 내 무료) | 타이항공 바로가기 |
카타르항공 (Qatar Airways) | 제공 (위탁 범위 내 무료) | 카타르항공 바로가기 |
에어아시아 (AirAsia) | 제공 (유료) | 에어아시아 바로가기 |
게이트 백 서비스란?
게이트 백 서비스는 면세점에서 구매한 캐리어처럼 기내 반입이 불가능한 물품을 탑승 게이트에서 위탁 수하물로 맡기는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체크인 카운터에서 처리하지만, 게이트 백을 이용하면 출국 심사 이후 받은 물품도 바로 위탁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항공사별 게이트 백 서비스 제공 여부
게이트백 서비스는 모든 항공사가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게이트백 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 미리 항공사에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게이트백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점 염두에 두시고 케리어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항공사 | 게이트 백 서비스 | 비고 |
---|---|---|
대한항공 | 제공 | 위탁 수하물 허용 범위 내 무료 |
아시아나항공 | 제공 제한적 | 공항·노선별로 상이 |
제주항공·진에어 티웨이·에어부산·에어서울 | 제공 | 대부분 유료, 사전 확인 필요 |
싱가포르항공·타이항공 카타르항공 | 제공 | 무료 제공 (위탁 범위 내) |
에어아시아 등 일부 LCC | 제공 | 유료, 노선별 차이 큼 |
위 항공사는 한국에서 국외로 나갈 때 많이 이용하는 항공사를 정리한 것으로 게이트 백 서비스는 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게이트 백 서비스 이용 시 주의사항
게이트백 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 발권시 사전에 미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는 점을 말해두셔야 서비스 이용에 차질이 없습니다. 위탁 가능한 품목은 보통 부피가 큰 캐리어가 주로 가능합니다.
- 사전 확인 필수: 항공사마다 제공 여부가 다름.
- 위탁 가능 품목: 면세품 캐리어 위주, 일반 수하물은 불가할 수 있음.
- 수하물 규정 준수: 무게·크기 초과 시 초과요금 발생.
- 보조배터리·건전지: 기내 반입만 허용되는 경우 많으므로 게이트 백 위탁 불가.
- 탑승 시간 준수: 보통 출발 30분 전까지 위탁해야 함.
마무리
항공사마다 수하물 규정과 게이트 백 서비스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비행기 수하물 건전지 및 보조배터리 관련 규정은 엄격하므로, 출국 전 미리 체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게이트 백 서비스는 면세품 캐리어 처리에 매우 편리하지만, 유료 여부와 조건은 항공사별로 달라 꼭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